일본발 철 스크랩 가격이 좀처럼 기를 못 펴면서 동아시아 철 스크랩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철 스크랩 가격의 최근 동향과 영향에 대해 짚어 보았다. [편집자 주]

- 일본 철 스크랩 얼마나 싼가?

일본 도쿄스틸 우츠노미야 공장의 특급(H2) 평균 구매가격은 지난해 2만 7,800엔, 올해 최근까지 평균 2만 2,400엔을 기록 중이다. 각각 전년 대비 21.9%와 19.4% 하락한 것이다. 단기 고점이었던 지난 2018년 대비 37.1% 하락했다.

이는 한국이나 미국 그리고 터키의 수입가격에 비해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다.

지난해 미국의 내수가격은 21.6% 하락해 우츠노미야 공장과 비슷했다. 그러나 올해는 3.1% 상승해 대조를 이루었다. 2년간 하락 폭은 19.2%로 우츠노미야 공장보다 17.9% 덜 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터키와 비교해도 비슷하다. 터키의 HMS No.1&2 80:20 연평균 수입가격은 2018년 339달러를 정점으로 하락해 2019년 286달러, 올해는 지난주까지 280달러를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15.6%와 2.1% 하락한 것이다. 2년간 하락 폭은 17.4%로 도쿄스틸의 우츠노미야 공장 대비 19.7% 덜 하락한 것이다.

동아시아는 미국이나 터키보다 상대적으로 더 하락했다. 일본 철 스크랩 폭락의 영향으로 보인다. 한국의 일본 철 스크랩 수입가격은 2018년 3만 4,444엔을 정점으로 하락해 2019년 19.2%, 올해 12.6% 하락했다. 2년간 평균 하락 폭은 29.4%이다. 역시 우츠노미야 공장과 비교하면 7.7% 덜떨어진 것이다. 한국 내수가격이 상대적으로 덜 하락해 수입 가격도 하락 폭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컨테이너 철 스크랩과도 상황은 같다. 대만의 컨테이너 철 스크랩 수입가격은 2018년 329달러를 정점으로 2년 연속 하락 중이다. 2019년 평균 가격은 271달러, 올해는 247달러이다. 각각 -17.6%와 -8.9%를 기록 중이다. 2년간 하락 폭은 24.9%이다. 12.2% 덜 떨어졌다.

한국 내수가격과 비교해도 상황은 비슷하다. 한국 남부제강사의 중량A 구매가격(보조금 제외)은 2018년 38만 1,000원이었지만 2019년에는 35만 원으로, 올해는 29만 4,000원으로 떨어졌다. 각각 -8.2%와 -16.2% 하락한 것이다. 2년간 하락 폭은 22.9%이다. 일본 우츠노미야 공장과 비교하면 6.5% 덜 하락한 것이다.


- 일본 내수가격 약세 왜?

일본의 철 스크랩 내수가격이 유독 더 많이 떨어진 것은 국내외 환경이 모두 악화됐기 때문이다.

일본의 철 스크랩 소비는 2016년~2018년까지 4,000만 톤 이상에서 유지됐다. 특히 2017년과 2018년은 각각 4,205만톤과 4,256만톤으로 전년 대비 4.8%와 1.2% 증가했다. 그러나 2019년에는 10월까지 소비가 5.9% 감소한 3,340만 톤에 그쳤다.

일본의 철 스크랩 내수가 4년 만에 감소한 것은 일본의 도쿄올림픽 특수와 재해 복구 수요가 종료되면서 철근 등 전기로 제품의 출하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철 스크랩 다소비 산업인 철근의 경우 지난해 내수 판매량이 749만 톤으로 전년 대비 3.9% 줄었다. 그만큼 철 스크랩 소비가 감소할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 철 스크랩 업계는 내수 부진으로 수출을 늘릴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일본의 철 스크랩 수출은 지난해 761만 톤으로 추정된다.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세이난쇼지의 안도 사장은 지난 2월 스틸앤스틸 세미나에서 “중국으로의 수출이 중단된 잡빙(雜品)을 제외하고 순수한 철 스크랩 수출만 추적하면 지난해 20.1% 정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일본의 올해 철 스크랩 수요는 더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특수의 소멸과 내수 침체가 주된 탓이다. 그러나 비단 내수만 문제가 아니다. 최대 수출국인 한국의 수입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지난해 한국행 수출은 393만 톤으로 2018년의 407만 톤에 비해 14만 톤 줄었다. 중국을 제외한 한국의 수출 비중은 2018년 64.1%에서 지난해에는 51.6%로 감소했다.

올해 한국의 철근 수요는 전년 대비 약 100만 톤 정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시간이 갈수록 감소폭이 커질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한국의 수입 감소는 일본의 수출 증대 압력을 높일 것이 불 보듯 훤하다. 일본 철 스크랩업계로선 대만 베트남 등 기타지역으로의 수출 확대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수출 증대 압력으로 일본의 내수는 물론 수출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공비행을 할 수 밖에 없고, 이미 1분기에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 동아시아 가격 저평가와 영향은?

일본의 공급과잉과 한국의 철 스크랩 소비 감소는 동아시아 철 스크랩 시장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1) 서아시아와 동아시아의 디커플링 혹은 가격 차이가 벌어졌고, 지속될 것이다. 2) 등락폭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3) 상승과 하락 중 하락이 더 긴 기간에 걸쳐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4) 동아시아 철 스크랩 가격은 한국과 일본이 아니라 베트남이나 대만에 의해 좌우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공급과잉 시장이 공고해 진다는 것은 제강사의 시장 주도권이 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세의 바닥은 주요 유통업체들이 손실 누적으로 적극적인 매도를 포기하는 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매도 시점은 공급과잉에 따른 유통량 증가로 기댓값 이하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유통업체들의 재무적 체력 약화가 동반될 전망이어서 차익 실현 매물이 예상보다 일찍 나오는 현상이 반복될 것이다.

결국, 바닥 시세는 과거보다 오래 지속되고, 상승 구간은 짧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된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이후 한국 남부지역에서는 철 스크랩 가격이 예상보다 낮은 상승 후 유통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철 스크랩 유통업체들의 경영 전략도 수정이 불가피하다. 지난 시기에는 박스권 장세가 3년간 지속됨에 따라 쌀 때 사서 모아 놓고 비쌀 때 판매하면 수익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꾸준한 물량 회전을 통해 이익을 확보해야 하는 시대로 전환된 것이다. 얼마나 양질의 조달선을 갖고 있느냐? 재무적 체력은 얼마나 되느냐? 제강사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등이 유통업체들의 수익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 다른 변화는 짧은 상승 긴 하락이 이어질 가능성 여부이다. 작금의 경제 체질과 철 스크랩 조달 시스템으로는 제강사의 중량A 구매가격이 톤당 28만 원, 중소상의 시중 매입 시세가 톤당 20만 원 전후에서 하방 경직성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철 스크랩가격의 저 평가가 이어지게 되면 바닥시장에서부터 구조조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조달비용의 감소로 이어져 시세가 추가 하락하는 현상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으로선 제강사 중량A 구매가격 기준으로 28만 원 전후가 바닥 시세로 보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저점이 점차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또 철근 경기 부진에 따른 공급과잉은 제강사의 고정비 상승과 치열한 철근 판매 경쟁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철 스크랩에 대한 구매가격 인하 압력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한가지 더 생각해 봐야 할 것은 그 동안 동아시아의 프라이스 리더는 한국 제강사였다. 한국제강사의 일본 철 스크랩 구매가격이 동아시아의 주요 인덱스였다. 한국의 구매력 저하는 자연스럽게 가격 주도권이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철 스크랩은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의 벌크나 컨테이너 철 스크랩과 경쟁을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국제가격이 한국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발 공급과잉과 한국의 소비 감소는 일본에는 원거리 수출 증대 압력으로, 한국에는 제강사의 협상력 증대로, 유통업체에는 수익성 저하와 이익 창출 메커니즘의 변화를 동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