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데일리 김영대 기자
▲ 스틸데일리 김영대 기자
철근 시장 취재 한 달이 지났다. 연간 약 1,000만 톤의 수요, 액수로 따지면 현재 유통 시세로 가늠했을 때 연간 약 6조 원 수준의 자금이 거래되는 시장규모에 놀랐으며, 철근 시장을 관통하는 ‘일물일가(一物一價)’ 법칙에 또 한 번 놀랐다.

아울러 자신들이 판매하는 제품이 얼마에 거래될지 제강사도 유통업체도 당장은 모른다는 점은 놀라움을 넘어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를 개선하고자 제강사들은 올해부터 익월 최저 마감가격을 선고시하고 이에 맞춰 제품을 판매하도록 원칙마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저가 제품을 판매한 유통업체들의 적자 분을 수개월이 지나 소급할인 해줬던 사례를 비춰볼 때 가격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앞서 언급한 면면들을 종합해 보면 국내 철근 시장은 ‘일물일가 법칙과 가격변동성이 혼재된 상황에서 연간 약 1,000만 톤의 제품이 거래되는 시장’으로 규정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특징들이 서로 얽혀 기형적인 시장구조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예컨대 철근을 판매하는 수많은 관계자들 중 단 한명이라도 비정상적으로 낮은 가격에 철근을 판매한다면, 일물일가 법칙으로 인해 좋든 싫든 전체 철근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함께 내려간다.

연간 1,000만 톤 수요의 철근 시장을 단 한명이 교란시키고 종국에는 제강사들의 수익성 악화에도 기여한 셈이다.

혹자는 도대체 철근 시장이 왜 이렇게까지 됐는지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기자도 다 이해하지 못한다. 심지어 20년 이상 철근 시장에 몸담은 한 관계자도 아직까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다.

더 큰 문제는 대책 마련에 소극적인 관계자들이다. 대응방안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돌아오는 대답은 대부분 ‘대책이 없다’는 자조 섞인 한탄뿐이다.

간혹 철근 가격을 결정하는 시장상황이 수급상황과 일맥상통한다는 점을 들어 추가 감산을 검토하거나 수출을 고려하는 것을 거론하긴 하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대책이 없다’지만 대책을 만들어야하는 시점이다. 제강사들을 중심으로 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제강사들 간 담합을 금지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과도한 규제로 인해 머리를 맞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곳부터 풀어나가는 게 꼬일 대로 꼬인 철근 시장을 풀어나갈 실마리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