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형강 가격 하락이 이어졌다. 국산은 소형 정기결제 현금 가격을 기준으로 톤당 71~73만 원에 거래됐다. 지난주보다 1~2만 원 하락한 것이다. 베트남산은 71~72만 원, 일본산과 바레인산은 베트남산에 비해 1~2만 원 싸게 거래됐다.


H형강 수요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강사들의 출하량은 지난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달의 절반이 지났지만 목표 진도율을 다소 밑돌분 지난달 수준의 출하는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제강사의 설명이다.

유통업체들의 체감 경기는 부진하지만 실수요를 중심으로 꾸준히 출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제강 대리점들은 배차가 다소 늦어진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현대제철도 평소 수준의 출하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지난해 처럼 성수기 13~15만 톤에 못미칠 뿐이다.

유토의 체감경기 부진과 철 스크랩 가격 하락 등으로 시세 하락이 이어졌다. 특히 철근 가격 하락이 H형강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 나오고 있다.

- 다음 주 시장은?

다음 주 시장은 하순 진입이라는 점과 가격 하락의 동력이었던 철 스크랩 가격 하락이 멈췄다는 점이 시장에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철 스크랩 가격 하락이 사실상 먼춘 것으로 보여 H형강 가격 하락도 멈춰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철 스크랩 가격 하락이 H형강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인지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

객관적인 상황은 멈춰야 하지만 일부 유통의 저가 판매가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주 후반 수도권 남부의 한 대형 유통업체는 어음 가격으로 톤당 71만 원까지 가격을 내렸고, 일부 경쟁사는 경쟁적으로 인하해 현금 70만 원 이하를 부르기도 했다.

일반적인 가격은 아니지만 가격 경쟁이 시장에 알려지면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순 진입이라는 점도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강사와 유통 모두 판매 목표 달성에 관심을 집중하는 시기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객관적인 상황은 하락이 멈춰야 할 시점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가격 하락이 멈추기 위해선 제강사와 유통업체들의 가격 방어 노력이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강사는 대리점들의 저가 출혈경쟁을 감시하고 지양하게 해야하고, 유통은 가격 경쟁보다 수익성을 우선하는 전략으로 선회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철 스크랩 가격 하락이 멈추게 되면 제강사의 원가 하락도 더디게 되기 때문에 제강사의 가격 탄력성도 떨어지게 된다.

가격 하락이 멈출 것인지 여부는 오롯이 시장 참여자들의 노력에 달렸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